남태평양에 위치한 통가에서 히로시마 원자폭탄보다 500배나 큰 위력을 가진 대규모 해저화산 폭발이 일어났습니다. 아래 사진을 보시면 통가 화산폭발 위치와 전 후 끔찍한 상태를 비교해보실 수 있습니다.  

 

화산폭발 전 후 상태 비교

 

통가 화산 폭발 전

 

통가 화산 폭발 후

 

똑같은 위치에서 찍은 위성사진을 보시면 쟂빛으로 덮힌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초록색깔의 나무들은 온데간데 없이 모두 타버린것처럼 까맣게 변했습니다.

 

 

 

통가 화산 폭발 전 후

10메가톤 폭발 수치

통가섬에서 발생한 화산폭발은 히로시마 원폭보다 위력이 500배 이상 강력한 것이라고 합니다. 미 지질조사국(USGS)은 지난 15일 오후 통가 하파이 해저화산이 대폭발을 일으키면서 발생한 지각의 흔들림이 규모 5.8 지진 수준이라고 밝혔는데요.

 

이번 화산 폭발은 지난 한 세기 동안 지구상에서 발생한 가장 큰 분화라며 "이번 사례는 (인도네시아 화산) 크라카타우의 1883년 분화 이래 가장 큰 소리가 난 분화일 수 있다고 합니다.

 

 

화산 폭발 전 후 비교

 

 

 

이렇게까지 큰 폭발음을 내는 화산 분화는 한 세기에 한 번 있을까 말까라고 하는데요. 이번 사례는 (인도네시아 화산) 크라카타우의 1883년 분화 이래 가장 큰 소리가 난 분화일 수 있다고 합니다.

 

다만 나사는 이번 분화가 과거 대규모 화산 분화 사례처럼 지구 기후에 단기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희박하며, 가까운 시일 내에 대규모 분화가 재차 발생할 가능성도 크지 않다고 평가했는데요.

 

 

 

 

가빈 박사는 "이런 종류의 화산 폭발에 대한 과거 사례가 의미가 있다면 당분간 이런 폭발은 없을 것"이라며 "현재로서는 최악의 상황은 끝났을 것이라고 믿는다"고 덧붙였습니다.

 

 

 

화산폭발 피해 상황

 

통가 정부는 이번 사태로 영국인 여성, 자국민인 65살 여성, 49살 남성 등 최소 3명의 죽음을 확인했으며 여러명이 다쳤다고 발표했습니다. 이어 하아파이제도에 속하는 망고섬에선 모든 집이 파괴됐고, 인근 포노이푸아섬에선 집이 2채만 남고 모두 부서졌다고 밝혔죠.

 

170여개 섬으로 이뤄진 섬나라, 그중 36개 섬에는 약 10만명이 살고 있는데요. 현재 통가 화산 폭발로 인한 가장 큰 문제는 화산재로 인한 식수 오염입니다.

 

자연재해가 발생하면 72시간 안에 물과 식량 등이 지원되어야 합니다. 하지만 예상보다 고립이 장기화되며 연락이 두절된 지역 주민들은 생사를 넘나드는 위기에 내몰리고 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위성으로 본 통가 화산폴발 장면

 

 

본격적인 수색 및 구조 작업이 이루어지면 희생자가 늘어날 수밖에 없는데요. 통가 정부는 통신 두절과 관련해 화산 폭발로 해저케이블이 손상돼 국내와 국제 통신 모두 장애가 있다고 밝혔습니다.

 

통가 정부와 시민들은 외국의 구호물자를 확보하기 위한 공항 활주로 복구에 전력을 기울이고 있는 상황입니다. 통가 시민들로 구성된 자원봉사자들이 비행기가 착륙할 수 있도록 화산재 청소에 나서고 있지만, 작업이 늦어지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조너선 비치 통가 주재 유엔 대표는 “18일에는 공항 운영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했으나, 화산재가 계속 떨어지고 있어 완전히 청소가 되지 않았다”고 말했습니다. 구호 과정에서 예상되는 또다른 어려움은 코로나19 의 확산입니다.

 

통가는 지난해 10월 코로나19 확진이 단 한건만 발생해 청정 지대의 지위를 부여받고 있는 상황이었습니다. 유엔은 식수와 식량 등 구호품 전달에 일단 주력하면서도 코로나19 청정 지대 지위는 유지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웃인 뉴질랜드는 18일 군함 웰링턴과 아오테아로아에 식수 등 구호품을 실어 통가로 보냈는데요, 물 25만 리터를 싣고 통가로 향하는 두 함정은 21일 통가에 도착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정보

 

남평양 남단에 위치한 작은 섬, 통가에 대해서 알아보세요!

 

뉴질랜드 통가 섬 위치 세계지도

남태평양의 작은 제도 통가 통가 사회 통가 섬에 사는 인구는 백인과 접촉하기 시작한 후부터 감소했지만, 1920년대부터는 다시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고 합니다. 혼혈이 적고 비교적 순수성을

kunspalo.tistory.com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